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정부 전산망 마비…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이 원인
2025년 9월 26일 밤 8시 15분경,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본원 5층 전산실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이번 사고는 **무정전 전원장치(UPS)**에 연결된 리튬이온 배터리 분리 작업 중 불꽃이 튀면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화재 발생 당시, UPS 배터리를 지하로 이전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었고,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배터리 연결 케이블을 해체하던 중 불꽃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5층에 설치되어 있던 리튬이온 배터리 384개가 전소되었으며, 전산실 내 정부 핵심 서버 상당수도 피해를 입었다.
이번 화재는 단순한 시설 피해에 그치지 않았다. 국정자원에서 운영하던 70여 개 정부기관의 전산 시스템이 동시에 마비되며, 총 647개 행정·민원 시스템이 중단되는 전례 없는 행정 마비 사태로 이어졌다.
대표적으로 법원 전자소송포털, 인터넷등기소, 주민센터 민원서비스, 우체국 금융 및 우편 시스템이 일시적으로 전면 중단되었다. 행정안전부는 위기 경보를 ‘경계’에서 ‘심각’으로 격상하고, 긴급 복구 작업에 돌입했다.
소방당국은 소방 인력 120여 명과 장비 60여 대 이상을 투입, 약 22시간 동안 진화 작업을 벌였으며, 큰 불길은 다음 날 오전 6시 30분경 진압되었다. 리튬이온 배터리 특성상 진화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고, 잔열 및 유독가스 문제로 인한 냉각·배연 작업은 그 이후에도 장시간 진행됐다.
인명 피해는 비교적 경미한 편이었다. 작업자 1명이 1도 화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며, 건물 내 약 100여 명은 긴급 대피했다. 하지만 국가 주요 데이터센터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는 커지고 있다.
정부는 현재 피해 전산망 복구를 위해 항온항습기와 전원 인프라 복구 → 백업 데이터 확인 → 서버 상태 진단의 순서로 단계적인 대응을 진행 중이다. 데이터 손상 여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백업된 데이터로 복구 가능성은 높은 상태로 전해졌다.
이번 화재는 정부 전산 인프라의 이중화 체계 부재, UPS 배터리 관리 체계의 미흡함, 그리고 리튬이온 배터리의 위험성을 여실히 드러낸 사건이다. 전문가들은 중앙정부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및 원격 백업 체계 강화, 화재 대응 매뉴얼 재정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경찰과 소방당국은 정밀 감식과 사고 당시의 작업 절차, 배터리 관리 실태에 대한 조사를 병행하고 있으며, 향후 유사 사고 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핵심 요약
- 일시: 2025년 9월 26일 오후 8시 15분
- 장소: 대전 유성구, 국정자원관리원 본원 5층
- 원인: UPS 리튬이온 배터리 해체 작업 중 불꽃 발생 → 화재
- 피해: 647개 정부 시스템 마비, 리튬 배터리 384개 전소
- 진화: 약 22시간 소요, 인명 피해 1명(1도 화상)
- 복구: 백업 기반 데이터 복원 및 인프라 점검 중
- 의의: 정부 IT 인프라 백업 및 안전관리 체계의 중요성 재조명
'sns 정보 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톡 업데이트 논란 (1) | 2025.09.26 |
---|---|
카카오톡 친구탭, 인스타그램처럼 변신! (0) | 2025.09.26 |
추석 연휴, 라식 수술하기 좋은 이유 (1) | 2025.09.26 |
전유성 별세, 개그계의 대부가 남긴 마지막 웃음과 발자취 (0) | 2025.09.26 |
나이별 암보험 가입 가이드 | 연령대별 특징과 보험료 차이 (0) | 2025.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