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ns 정보 공유

KT·MS 공동개발 한국형 초거대 AI ‘SOTA K’ 공식 공개 (2025.09.29)

by 낭만의 베짱이 2025. 9. 29.
반응형

KT·MS 공동개발 한국형 초거대 AI ‘SOTA K’ 공식 공개 (2025.09.29)


한국어 특화 초거대 AI의 탄생

2025년 9월 29일, **KT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해 개발한 한국형 AI 모델 ‘SOTA K’**가 공식 공개됐습니다.
SOTA K는 GPT-4o 모델을 기반으로 하되, 한국어와 한국적 맥락을 정교하게 반영해 글로벌 최고 수준 성능을 갖춘 것이 특징입니다.


SOTA K의 주요 특징

  • 한국어 경어법·방언 이해
    • 표준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역 방언과 존댓말 체계를 자연스럽게 처리
  • 산업별 전문 용어 활용 능력
    • 법률, 금융, 역사 등 국내 산업 맞춤형 용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 가능
  • 한국형 시험 성과
    • 대한민국 공무원 시험, 귀화 시험 등 고난이도 한국 지식 기반 문제에서
      기존 GPT-4o 모델을 능가하는 성과 달성

적용 및 활용 계획

  1. KT B2C 서비스 우선 적용
    • 고객 대상 서비스에서 안정성과 신뢰성 검증
  2. 공공·민간 분야 확대
    • 맞춤형 AI 서비스 제공 및 산업 현장 적용
  3. 대한민국 내 클라우드 인프라 운영
    • 데이터 주권 강화 및 기업·기관별 고유 데이터와 결합한 특화형 AI 서비스 제공

주요 협력 사례

  • 메리츠화재: 복잡한 보험 약관 요약 및 고객 친화적 설명
  • EBS: 맞춤형 교육 콘텐츠 자동 생성
  • 연세의료원: 의료 데이터 분석 및 환자 설명 지원

KT 측 공식 입장

“SOTA K는 글로벌 최고 기술력과 한국적 AI 특화가 융합된 혁신 모델이다.
국내 AI 생태계 활성화와 국가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
— 윤경아 KT 에이전틱 AI 랩장 상무


의미와 전망

  • 국내 AI 주권 강화: 한국어와 문화에 최적화된 모델 개발
  • 글로벌 경쟁력 확보: GPT-4o를 능가하는 일부 성능으로 세계 AI 시장 선도
  • 산업별 혁신 가속화: 금융, 교육, 의료 등 전 산업에 AI 기반 디지털 전환 촉진

요약

  • 모델명: SOTA K
  • 개발 주체: KT × Microsoft 협업
  • 기술 기반: GPT-4o 기반, 한국어 특화 초거대 AI
  • 특징: 한국어 방언·경어법 이해, 산업별 전문 용어 지원
  • 활용: B2C → 공공·민간 확대, 클라우드 기반 맞춤형 서비스 제공
  • 협력 사례: 메리츠화재·EBS·연세의료원 등
  • 전망: 한국형 AI 생태계 활성화 및 국가 AI 경쟁력 강화의 핵심 역할

📌 **SOTA K는 단순한 AI 모델이 아닌, ‘한국형 초거대 AI 생태계의 출발점’**으로 평가됩니다.
앞으로 국내 산업 현장에서 얼마나 빠르게 안착하고 확산될지가 주목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