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ns 정보 공유

소형 언어 모델(SLM) 핵심 가이드

by 낭만의 베짱이 2025. 9. 20.
반응형

소형 언어 모델(SLM) 핵심 가이드

한 줄 정의

**소형 언어 모델(Small/Smaller Language Model, SLM)**은 수억~수십억(≈0.5B–10B) 파라미터 규모의 경량 LLM으로, 저지연·저비용·온디바이스/에지 실행을 목표로 설계된 모델입니다. “정답률 최고”보다 응답 속도·비용·배포 용이성·프라이버시를 우선합니다.


왜 SLM인가?

  • 지연 시간↓: 실시간 인터랙션(에이전트, 음성/채팅 UI)에서 체감 반응성 확보
  • 비용 절감: 추론 비용과 메모리 풋프린트가 작아 대량 트래픽/내부 업무에 유리
  • 프라이버시/규제: 온디바이스 또는 VPC 내부 배치로 데이터 외부 반출 최소화
  • 에너지 효율: 모바일/엣지/저사양 서버에서도 구동 가능

대표 활용 시나리오

  • 요약·분류·라벨링: 이메일/티켓/문서 라우팅, 민감정보 마스킹
  • 도메인 질의응답(RAG): 사내 KB/문서 검색 + 간결한 답변 작성
  •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 툴 호출·상태관리·간단한 계획 수립(복잡 추론은 LLM로 폴백)
  • 온디바이스 보조: 스마트폰/노트북 상의 오프라인 번역·요약·초안작성

SLM vs LLM 빠른 비교

구분SLM(≤10B 전후)대형 LLM(수십~수백B)
강점 속도, 비용, 배포 용이, 온디바이스, 보안 범용성, 복잡 추론, 광범위 지식
약점 복잡 추론/정교한 코딩·수학에 취약 비용↑, 지연↑, 프라이버시/호스팅 부담
베스트핏 임베디드, 대규모 트래픽, 사내 자동화 고난도 창작, 장문 추론, 오픈도메인 QA

기술 스택 & 모델 예시

  • 오픈 모델(예): Mistral 7B, Llama 3 8B, Phi-3 계열(미니/스몰), Qwen2 7B, TinyLlama 1.1B 등
  • 런타임: llama.cpp(GGUF 4/5/8비트), Ollama, vLLM, TensorRT-LLM
  • 온디바이스: 모바일/노트북에서 4–8비트 양자화 모델 구동(메모리 6–16GB 권장)

팁: **4비트 양자화(Q4_K_M 등)**로 VRAM/RAM을 크게 절약하면서도 품질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성능 끌어올리는 방법(실무 요령)

  1. RAG 우선: 검색(벡터DB)→요약/답변. 작은 모델도 최신·정확한 문맥을 받으면 성능이 크게 향상됩니다.
  2. 도메인 미세튜닝: LoRA/QLoRA로 사내 데이터(가이드, FAQ, 로그) 수천~수만 샘플 튜닝.
  3. 지시형 데이터 정제: 짧고 명확한 시스템 프롬프트 + 포맷 예제 제공으로 불필요한 생성 억제.
  4. 캐스케이딩: SLM으로 1차 처리, **불확실성↑/난이도↑**일 때만 LLM 폴백(비용 최소화).
  5. 안정화: 응답 길이 제한, 구조화 출력(JSON 스키마), 단계적 사고 요구 최소화(오버시킹 방지).

평가와 관측(Observability)

  • 정확도: 작업별 지표(F1/정확도/ROUGE), 휴리스틱/골드셋 평가
  • 효율: 평균 지연(ms), 토큰당 비용, 메모리 사용량
  • 안전/품질: 금지어·PII 유출 검사, 포맷 준수율(JSON 유효성)
  • 신뢰도: 자체 신뢰 스코어(“모름” 선언률), 폴백 빈도

배포 아키텍처 패턴

  • 온디바이스: 노트북/모바일 앱에 4–8bit 모델 번들 → 완전 로컬 처리
  • 엣지 서버: 지사/현장 게이트웨이(저사양 GPU/CPU)에서 초저지연 추론
  • 프라이빗 API: vLLM/Serving으로 사내 서비스 일괄 제공
  • 하이브리드: SLM(기본) + 대형 LLM(폴백) + RAG + 툴콜(검색/DB/캘린더)

보안·거버넌스 체크리스트

  • 데이터 경로: 로그/프롬프트/응답의 저장·마스킹 정책
  • 온프레미스 비활성화 스위치: 외부 호출 차단 옵션
  • 버전/해시 고정: 모델·토크나이저 버전 관리, 재현성 확보
  • 프롬프트 주입 방지: 시스템 프롬프트 분리, 출력 검증·허용어만 통과

시작 가이드(실행 가능한 2주 플랜)

1주차

  • 유즈케이스 1–2개 선정(예: 이메일 라우팅, 사내 FAQ)
  • SLM 후보 2종(예: 7–8B & 3–4B) + 4/8bit 양자화 세트업
  • 벡터DB 구축(문서 1–2만 건 임베딩), 간단한 RAG 파이프라인

2주차

  • LoRA로 도메인 데이터 5k–20k 샘플 튜닝
  • 품질·지연·비용 A/B 측정 → 임계값 초과 케이스는 LLM 폴백
  • JSON 출력 강제·금지어 필터·로그 수집/대시보드 적용

자주 묻는 질문

Q. SLM만으로 충분한가요?
A. 반복·패턴화된 업무, 짧은 답변, 내부 RAG 기반이라면 충분합니다. 창의적 장문·복잡 수학/코딩은 폴백 전략을 권장합니다.

Q. 어느 크기가 “소형”인가요?
A. 맥락에 따라 다르지만, 실무에선 **1B–8B(±10B)**를 주로 SLM으로 부릅니다.


결론

SLM은 “빠르고 싸고 안전한” 실무형 선택지입니다. RAG·경량 튜닝·캐스케이드로 정확도를 보완하면, 대다수 업무 자동화와 온디바이스 보조를 충분히 커버합니다. 

반응형